대학생활

학사안내

융합교육과정

-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및 재학생의 융합적 사고력 제고를 위해 한 분야의 전문지식이 아닌 다양한 학문의 연결을 통해 구성된 교육과정

  • 연계전공
  • 융합전공
  • 자기설계융복합전공
  • 마이크로디그리과정

융합교육과정의 필요성

  • 2개의 학위 취득 가능
    • 주전공과 융합교육과정의 졸업요건을 충족할 시, 2개의 학위를 동시에 취득
      ※ 주전공 학위명과 이수한 융합교육과정 학위명을 병행 표기한 1개의 학위증서 수여
  • 전공선택 범위 확대
    • 기존 학과 및 전공 제한을 벗어나 자신의 적성에 맞는 다양한 전공선택 가능
    • 여러 학과 및 전공이 연합한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의 경쟁력 강화
  • 취업 역량 강화
    • 미래 사회의 요구에 발맞춰 통합적·융합적 사고 역량 함양
    • 자신에게 맞는 분야에서 취업과 창업의 기회 확대

Ⅰ. 연계전공

  • 개념
    • 복수의 학부(과) 또는 전공의 교과목을 연계하여 개발한 창의적이고 특화된 새로운 전공으로 해당 교육과정을 이수하여 학위를 취득하는 제도
  • 이수기준
    • 연계전공은 이수전공(제1전공) 또는 다전공으로 이수 가능
  • 운영절차
44.png

Ⅱ. 융합전공

  • 개념
    • 미래사회의 수요에 따른 새로운 분야의 교육과정으로 2개 이상의 학과, 2개 이상의 학부(전공) 또는 학과와 학부(전공)가 융합하여 편성한 독립된 교육과정을 이수하여 학위를 취득하는 제도
  • 이수기준
    • 융합전공은 이수전공(제1전공) 또는 다전공으로 이수 가능
  • 운영절차
55.png

Ⅲ. 자기설계융복합전공

  • 개념
    • 학생 개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는 전공교육과정을 스스로 설계하여 이수함으로써 학위를 취득하는 제도
  • 이수기준
    • 자기설계융복합전공은 이수전공(제1전공) 또는 다전공으로 이수 가능
  • 이수자격
    • 2개 정규학기 이상 이수하여 30학점 이상을 취득한 학생
  • 운영절차
3434.png

Ⅳ. 마이크로디그리과정

  • 개념
    • 기술혁신 및 교육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융합인재를 양성하기위해 운영하는 소단위 학위과정
  • 이수자격
    • 마이크로디그리과정별 교과목을 이수함으로써 해당개별과정을 신청한 것으로 간주
    • 마이크로디그리과정별로로 지정된 이수 인정 기준을 충족하여 이수가 완료된 경우,마이크로디그리과정 이수증 발급

융합교육과정 비교

 구분     연계전공      융합전공    자기설계융복합전공 융복합트랙  마이크로디그리과정 
학위취득여부 ×
학위증 표기 다전공: 주전공 / 융합교육과정(전공)
이수전공(제1전공): 융합교육과정(전공)
× 이수증 발급
전공
이수학점
주전공 35학점 + 융합교육과정(전공) 35학점 해당트랙에서 제시하는
모든 교육과정 이수
마이크로디그리과정별 지정된
이수 인정 기준 충족
이수전공(제1전공)이수 시, 60학점
중복인정 최대 12학점 -
신청시기 매 학기 신청 가능